2023


Kim Yoojin Solo Exhibition <Scenes of the Individual>

Part 1 October 7 -  October 12, 2023

Part 2 October 14 - October 21, 2023

12pm-20pm

112-ho, 1st floor, MK View, 96-2, Cheongna-dong, Seo-gu, Incheon

Participants

Artist Kim Yoojin / Exhibition Review Eunsoon Yoo / Translation Kang Suyeon / Design Im Yeon su / Photography Yoon SungWon

support Incheon Seo-gu Cultural Foundation, Incheon, Incheon Cultural Foundation, space1bu




<Scenes of the Individual> Part 1



Discrepancy, 2022, Charcoal, Pencil on wallpaper, Variable installation, 96×1400cm


My Gaze Towards You, Your Gaze Towards Me, My Gaze Towards Myself

내가 너에게 보내는 시선, 네가 나에게 보내는 시선, 내가 나에게 보내는 시선



Yoo Eun Sun (Curator of Seoul Metropolitan Northern Seoul Art Museum)
유은순(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학예사)


In her book "Flâneuse: Women Walk the City," Lauren Elkin points out the absence of the concept of a female flâneur, the "Flâneuse," equivalent to the male flâneur with masculine privileges and leisure. She highlights that in the 19th century, the subject of the gaze in the bustling city of Paris was always the bourgeois men, and women did not have the freedom to wander the streets as men did. Bourgeois women were only allowed to walk in parks with chaperones, and venturing out alone could expose them to various risks or could lead to them being mistaken for sex workers. Women became the objects of public scrutiny simply by being on the streets. Like men, women also didn't want to draw attention to themselves, but due to the dominant presence of the flâneur in the streets, they inevitably attracted the gaze.

How about contemporary South Korea? Nowadays, women are no longer restricted from being in public spaces as they were in the past. However, there is a strong sense of belonging to social groups, and it has now become common for people to justify their stares toward others by taking unauthorized photos and sharing them publicly in online communities. Artist Kim Yoo-jin, who grew up in a conservative family and identifies as a sexual minority, has internalized the negative judgments imposed on her due to her background. Even after becoming an adult, she struggled with self-doubt for a while, but when she started her artistic endeavors, she made the choice to embrace and affirm her undeniable identity. Her fourth solo exhibition 《Scenes of the Individual》 features Oriental paintings based on her autobiographical experiences.

로런 앨킨은 『도시를 걷는 여자들』에서 남성적 특권과 여유를 지닌 거리 산보자 플라뇌르(Flâneur)에 대응하는 여성 산보자 플라뇌즈(Flâneuse)라는 개념이 없었음을 지적한다. 19세기 파리 대도시에서 시선의 주체는 언제나 부르주아 남성이었다. 당시 여성은 거리를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는 자유가 없었다. 부르주아 여성은 보호자를 대동하고 공원을 산책하는 정도만 허용되었고 혼자 집 밖에 나오는 순간 온갖 위험에 처하거나 성매매 여성으로 오인될 수 있었다. 여성은 거리를 나오는 것만으로도 시선의 대상이 되어 왔다. 여성 또한 남성과 마찬가지로 눈에 띄고 싶지 않지만, 거리의 지배적 존재인 플라뇌르가 시선을 보내는 탓에 눈에 띌 수밖에 없었다.

현대의 한국은 어떨까? 이제 과거처럼 여성이 거리에 있는 것이 금기시 되지는 않지만 집단에 대한 소속감이 강하고, 나와 다른 존재를 발견하면 그에게 보내는 시선을 정당화하기 위해 무단으로 사진을 촬영하여 공개적인 커뮤니티에 올리고 자잘못을 따지는 현상이 만연하다. 김유진 작가는 보수적인 집안의 딸이자 성적 소수자로서 자신에게 주어진 현실에 개입되는 부정적인 가치판단을 스스로 내면화 해왔다. 성인이 된 후에도 한동안 스스로에 대한 부정적 평가로 힘들어 했지만 작업 활동을 시작하면서 부인할 수 없는 자신의 정체성을 긍정하기로 한다. 그의 네 번째 개인전 《개인의 장면》은 이러한 작가 자신의 자전적 경험을 바탕으로 한 동양화 작업을 선보였다.



My Gaze Towards You
내가 너에게 보내는 시선



The exhibition is divided into two parts: Part 1 features the main artwork, <Discrepancy - Special Relational Pointy Display> (2023, hereinafter <Discrepancy>). One day, the artist filmed a short video of about 30 seconds while strolling through Gyeongbokgung with their lover during a fall day. She then segmented this video into seconds, and by using close-ups, created <Discrepancy> that spans over 20 meters. Due to limited exhibition space, approximately 5 meters remain unrolled. The artwork is installed with two acute angles. As the audience moves along the path, they are initially enclosed by narrow angles and then experience a dramatic transformation into sharper angles, allowing them to view the remaining scenes like a panorama. Each scene captures the artist's gaze directed towards her lover. There is no sexual implication present in these scenes. They simply depict the subtle details of her partner’s scarf and the rustling of her hair as in the wind. These details convey the intimacy shared between the artist and her lover. When a heterosexual couple walks the streets, people do not send any special glances. However, the situation is different for same-sex couples. While some might not have any particular thoughts or opinions about them, just like with heterosexual couples, others may send judgmental or hateful glances. Nevertheless, the artist remains undisturbed by such glances and focuses on the gaze that she herself sends to her lover. 

전시는 1부와 2부로 구성되었다. 1부의 주요 작품은 <괴리 - 특수상대적 뾰족한 디스플레이>(2023, 이하 <괴리>)이다. 작가는 어느 날 애인과 함께 경복궁을 거닐던 어느 가을, 30초 남짓의 짧은 영상을 촬영했다. 이 영상을 초단위로 분절하고 클로즈업하여 20여미 터에 달하는 <괴리>를 제작하였다. 전시 공간이 부족하여 약 5미터는 펼쳐지지 못한 채 끄트머리가 말려 있다. 작품은 예각을 두 번 이루게끔 설치되었는데, 동선에 따라 걸으면 비좁은 예각이 관람객의 신체를 가두었다가 다시 뾰족하게 극적으로 반전되는 예각을 지나 나머지 장면을 파노라마처럼 감상하게 된다. 하나하나의 장면은 작가가 상대방에게 보내는 시선을 담는다. 여기에는 그 어떠한 성적인 함의도 보이지 않는다. 다만 머플러의 세세한 실오라기, 바람과 걸음걸이에 따라 찰랑거리는 그녀의 머리카락을 묘사하고 있다. 살내음이 느껴질 만큼 가깝게 클로즈업된 거리가 이들의 친밀한 사이를 암시할 뿐이다. 서로에게 애정을 가진 이들이 거리를 걸을 때 시선은 그를 향하지 않지만, 이들이 만약 동성이라면 상황은 달라진다. 물론 누군가는 헤테로 커플과 마찬가지로 그에 대해 아무런 생각이나 의견이 없을 수도 있고, 사뭇 놀랐다가도 이내 아무렇지 않은 듯 자신이 하던 일을 할 수도 있지만, 누군가는 견제나 혐오의 시선을 보낼 수도 있다. 그러나 작가는 이러한 시선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타인이 보내는 시선이 아닌 자기 자신이 상대방에게 보내는 시선에 집중한다. 



네가 나에게 보내는 시선

Your Gaze Towards Me



During Part 1 of the exhibition, Kim Yoojin worked on <Scene 6> (2023) in a corner of the exhibition space. This work depicts one woman embracing another woman tightly. As the face of the embraced woman is not visible, it is unclear whether this represents the artist's lover or a reflection of her own self. The artist worked on this painting in a public space, waiting for the audience while creating it. This choice was made despite the fact that the location was not secure and enclosed but rather open and unstable, and despite the potential for encountering prejudices that might confront her. Perhaps the artist is slowly transforming an uncertain choice into a confident one by embracing her own identity and not allowing external judgments to affect her. In Part 1 of the exhibition, viewers follow the artist's first-person perspective through <Discrepancy> and then shift to a third-person observer’s perspective to witness the artist's creative process. While viewers initially position themselves as external observers, they become more deeply involved through Part 2 of the exhibition.  

김유진은 1부 전시가 진행되는 동안 전시장 한켠에서 <장면 6>(2023)을 그려 나갔다. 이 작업은 한 여성이 다른 여성을 힘껏 껴안고 있는 모습을 담는다. 안겨있는 여성의 얼굴은 보이지 않기 때문에, 이것이 그녀의 연인인지 아니면 자기 자신의 분신인지 분간되지 않는다. 공공에게 노출되어 있는 장소에서 작가는 관객을 기다리며 그림을 그려 나갔다. 안전하고 폐쇄된 공간이 아니라 열려있고 불안정한 공간에서 작가는 불현듯 부닥치게 될 수도 있는 편견에도 불구하고 그림을 그려 나가기를 선택한다. 어쩌면 작가는 자신 혹은 상대방을 꼭 껴 앉듯이, 자기 확신을 스스로에게 부여하면서 불확실한 선택을 확실한 선택으로 천천히 이행시키고 있는지도 모른다. 1부 전시의 관람객은 <괴리>를 통해 작가의 1인칭 주인공 시점을 따라가다가 작가의 작업 과정을 지켜보는 3인칭 관찰자의 시점을 가지게 된다. 관객은 시선을 보내는 타인으로서 작업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지만, 2부 전시를 통해 더욱 깊숙이 개입하게 된다.



Discrepancy, Special Relational Pointy Display, 2022, Charcoal, Pencil on wallpaper, Variable installation




Scene 6, 2023, Charcoal, animal skin glue and water on two layers dak paper, 130×130cm

Performances from October 7 to October 12, 2023






<Scenes of the Individual> Part 2





My Gaze Towards Myself

내가 나에게 보내는 시선



In Part 2 of the exhibition, the artist presents the <Scene> series (2023) and <Schrödinger’s Yoojin> (2023). The main theme of this part revolves around the internalized external gaze. When entering the exhibition space, viewers can immediately notice golden patterns drawn on both sides of turquoise and red backgrounds. These patterns, reminiscent of luxury mansion wallpapers, combine implicit symbols related to women who have been subjects of gaze. <Scene 1> vaguely depicts two women leaning towards each other in the foreground, and the focus aligns with the gaze directed towards the two women in the background. One of the two women in the foreground and the woman standing in the background represent the same person, portraying the artist's fragmented self. The artist believes that her identity can be revealed or exposed at any moment to an anonymous audience. The gaze directed at her by curious or hateful eyes, even if unintended, places restrictions on her actions. <Scene 4> portrays the artist's autobiographical character gazing outside through the gap in a turquoise curtain. The character is surrounded by seemingly alive patterns, symbolizing the unconscious, possibly aggressive, external gazes. If the curtain serves as a motif distinguishing between the inner and outer world, it demonstrates that external gazes have already been internalized before reaching the outside. In Part 2, viewers transition from the artist’s first-person perspective or the third-person observer’s perspective to an omniscient perspective. While viewers directly experience the artist’s affection for her lover, they also experience the artist’s lingering insecurity that has not yet been clearly defined. 

2부에서는 <장면> 시리즈(2023)와 <슈뢰딩거의 유진>(2023)이라는 작품을 선보였다. 여기서는 내면화된 외부의 시선을 주제로 한 작품이 주를 이룬다. 전시장을 들어서면 양쪽에는 청록색의 바탕과 빨간 바탕에 그려진 금색 문양을 금새 찾아볼 수 있다. 고급 저택의 벽지에서 찾아볼 수 있을 듯한 문양은 시선의 대상이 되어 왔던 여성에 관한 암시적인 기호를 합쳐 작가가 고안한 것이다.  <장면 1>은 화면의 전경에 두 여성이 서로에게 기대어 있는 모습이 흐리게 묘사되어 있고, 화면의 포커스는 뒤편에 두 여성을 바라보는 시선에 맞춰져 있다. 화면 앞에 두 여성 중 한 명과 뒤편에 서 있는 여성은 동일 인물이자 작가 자신으로 분열된 자아를 묘사한다. 작가는 익명의 청중들에게 자신의 정체성이 언제든 드러나거나 노출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호기심에 어린 시선이든 혐오의 시선이든 자신에게 닥치는 시선은 심지어 그럴 의도가 전혀 없는 스쳐 지나가는 시선이라도 작가의 행동을 규약하는 족쇄가 된다. <장면 4>는 청록색의 커튼이 드리워진 어느 곳에 작가의 자전적 캐릭터가 커튼의 틈 사이로 바깥을 바라보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외부인이 무의식적으로 건네는 (공격적인) 시선을 암시하는 문양이 마치 살아 있는 듯 인물의 주변을 에워싸고 있다. 커튼이 세계의 내부와 외부를 구분짓는 모티프라면, 외부로 향하기 이전에 이미 외부의 시선이 내면화 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2부에서 관람객은 1인칭 주인공 시점이나 3인칭 관찰자의 시점에서 전지적 시점으로 이행한다. 관객은 작가라는 주인공이 상대방에게 가진 애정을 직접 경험하면서도 주인공이 아직은 정확하게 가시화되지 않은 유령같은 불안함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도 함께 경험한다.  



Beyond the Gaze

시선 너머



The title <Schrödinger's Yoojin> is inspired by the famous thought experiment in quantum mechanics known as "Schrödinger's Cat." Setting aside complex explanations of quantum mechanics, the crucial point in this thought experiment is not about the actual status of the cat inside the box, whether alive or dead, nor does it revolve around a skeptical viewpoint asserting that the cat’s fate remains unknown until the box is opened. Instead, the significance lies in the fact that both states of being alive and dead coexist until the box is opened. The artist questions the audience, who has transitioned to an omniscient perspective, whether it is possible for external observers to judge the existence of oneself. The artist believes that fragmented information about the artist cannot fully describe her identity, and even if it is defined by language, it merely explains a momentary aspect. Moreover, when one's existence is defined by language, it distorts the identity of vulnerable individuals who cannot voice their own identities, as language is already structured by societal and historical influences. While confronting the audience with her unfiltered self, even to the extent of displaying her creative process, the artist ultimately reverses the situation, emphasizing that merely “seeing” is insufficient to understand everything. By the time viewers leave the exhibition, they become observers who cannot comprehend the true nature of the protagonist and return to the streets. 

The artist, who specializes in Oriental painting, creates black-and-white drawings by blending charcoal with ink. Charcoal is softer, darker, and more easily erasable than a pencil. However, it doesn’t erase cleanly. The charcoal, mixed with ink, barely adheres to the surface of the paper (or canvas). The material’s instability mirrors the artist’s struggle to find a place in the mainstream world centered around heteronormativity both linguistically and structurally. Despite this instability, the artist strives to navigate the gaps and construct a new visual language. Rather than seeking inclusion and security in the existing world, she chooses to reject it, asserting her buoyancy.

<슈뢰딩거의 유진>이라는 제목은 주지하다시피 양자역학에 관한 유명한 사고실험인 ‘슈뢰딩거의 고양이’를 차용한 것이다. 양자역학에 관한 복잡한 설명을 차치하고, 이 사고실험에서 중요한 지점은 상자 안의 고양이가 정말로 살아있는지 혹은 죽어 있는지에 관한 사실도 아니고, 뚜껑을 열기 전까지 절대로 알 수 없다는 회의주의적 관점도 아니다. 관측되기 전까지 살아있거나 죽어있는 두 상태가 중첩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작가는 전지적 시점으로 이행한 관객에게 나 자신이라는 존재를 외부인이 판단하는 것이 가능한지 작가는 질문한다. 작가에 대한 단편적인 정보는 그를 온전히 설명할 수 없으며 언어로 규정이 된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일순간의 무엇을 설명할 뿐이다. 게다가 나의 존재가 언어로 규정될 때, 언어는 이미 사회적/역사적으로 체계화 되었으므로 목소리를 낼 수 없는 자, 몫이 없는 자 등 취약한 개인은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언어라는 렌즈를 투과하며 필연적으로 왜곡된다. 작가는 관객에게 자신을 그대로 (심지어 작업을 그리고 있는 모습을 보일 정도로) 마주하면서도 결국 ‘보는’ 것만으로는 모두 알 수 없다고 상황을 반전시킨다. 전시장을 나설 때쯤 관객은 주인공의 진의를 알 수 없는 관찰자가 된 채 다시 거리로 나선다. 


동양화를 전공한 작가는 목탄에 아교를 섞어 흑백의 그림을 그린다. 목탄은 연필보다 부드럽고, 진하며, 무르고 쉽게 지워진다. 지워짐은 빠르지만, 그렇다고 해서 깨끗하게 지워지지도 않는다. 아교로 뭉쳐진 목탄은 종이(캔버스)의 표면에 겨우 안착한다. 재료의 불안정성은 작가가 언어적, 구조적으로 이성애중심으로 이루어진 주류 세계에 안착하지 못하는 불안정성을 반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가는 틈을 비집고 새로운 조형언어를 구축하려고 한다. 기존의 세계에 안전하게 편입하기보다 거부하고 부유함을 자처하면서 말이다.






Exhibition view




Scene1, 2023, Charcoal, animal skin glue and water on two layers dak paper, 117×91cm




Scene2
, 2023, Charcoal, animal skin glue and water on two layers dak paper, 53×45cm ×2ea





Scene3
, 2023, Powdered pigment, animal skin glue and water on cotton, 160×120cm





Scene4
, 2023, Charcoal , powdered pigment, animal skin glue and water on two layers dak paper, 163×260cm




Scene6, 2023, Charcoal, animal skin glue and water on two layers dak paper, 130×130cm





Schrödinger's Yoojin, 2023, Charcoal , animal skin glue and water on two layers dak paper
, 97×130cm×2ea